이 포스팅은 전 세계 웹 사이트 76.2%에 사용된 PHP를 알아봅니다(2024 w3techs 통계). PHP가 무엇이길래 이런 어마어마한 점유율을 가능케 하는 걸까요?
PHP 소개
대표적으로 워드 프레스(word press)나 그누보드가 사용하고 있습니다. 초창기 네이버나 페이스북도 PHP를 사용했습니다. 현재 페이스북은 PHP기반으로 개발 된 hack이란 언어를 사용한다네요.
PHP는 1994년 발표된 서버 측 스크립트 언어입니다. 스크립트 언어는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 삽입되는 식으로 사용되는 언어입니다. 예를 들어, Javascript, JSP, ASP, Python 등이 있습니다. 서버 측 스크립트 언어는 html문서에서 서버와 통신을 담당하는 역할을 의미하지요. 초창기 Personal Home Page의 약자였지만 현재는 PHP: Hypertext Preprocessor의 약자로 알려졌습니다.
서버와 어떤 통신하죠?
예를 들어, GET, POST, REQUEST, DELETE 요청이 있습니다. Html의 form 태그를 트리거로 통신합니다.
PHP 생김새
마치 html 태그같이 꺽쇠로 시작하고 끝나지요.
<?php
echo "hello world";
?>
동적 페이지 구성하는 PHP
Html은 마크업 언어로써 홈페이지 뼈대만 만들지만 PHP는 동적 웹 페이지를 구성합니다. 서버와 통신하는 로직을 PHP로 작성하거든요. 예를 들어, 웹 애플리케이션의 뼈대는 정적인 페이지에 해당하며 변하지 않습니다. PHP 언어를 사용하면 사용자에 따라 서버가 저장해둔 다른 데이터를 가져와서 보여줄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사용자마다 다른 텍스트 혹은 이미지를 볼 수 있는 거지요.
위 사진은 제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 페이지입니다. 동적 페이지의 예시로 가져왔습니다. 저는 모꼬지 이야기 이미지와 블로그명, 주소가 보이지만 만일 다른 사용자가 로그인 했을 때는 해당 사용자의 이미지와 블로그, 주소가 보일 겁니다.
마치며
오늘은 동적 페이지를 구성하는 PHP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저는 정보공유 커뮤니티 사이트를 만들 생각이기 때문에 웹 서버를 간단한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고 확인해 주는 역할로 설정했습니다. 그리고 본인이 포스팅했던 게시글을 볼 수 있도록 기능을 만들어 나갈 예정입니다. 그렇다면 PHP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전달받은 정보를 Database관리하는 MySQL와 통신하도록 구성해야겠네요.